-
대상 포진의 특징 및 싱그릭스 가격 및 후기건강 정보 2023. 7. 23. 11:36728x90반응형
* 대상 포진의 특징 및 싱그릭스 백신 가격 및 후기에 대해 알아보자.
대상 포진 백신 싱그릭스
※ 목 차
1. 대상 포진의 특징은?
- 원인 및 증상
2. 대상 포진의 치료법은?
3. 예방 방법 백신 : 싱그릭스의 효과, 가격 및 후기
1. 대상 포진의 특징
대상 포진은 수포성 피부 질환으로 처음엔 감기처럼 발연, 오한, 근육통 등을 동반하여 나타나지만 점차 허리, 가슴, 배, 어깨 등 신체 특정 부위에 띠 모양의 발진이 생기며 통증이 발생합니다. 대상 포진을 앓은 사람들은 출산의 고통에 비유할 만큼 그 고통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세포 면역 능력이 줄어드는 시기인 50대에 들어서면 3명 중 1명에게 발생할 정도로 흔한 질병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아직 나이가 젊더라 하더라도 신체적 면역력이 떨어지고 과도한 스트레스와 피로가 누적될 때 나이를 가리지 않고 발병할 수 있습니다.
만약 어린 시절에 수두를 앓았다면 피부 아래에 숨어있는 상태로 남아있다가 이후 면역 기능이 저하되거나 스트레스 상태가 생길 경우 VZV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어 대상 포진이 발생합니다. 또한 가려움증을 동반하기에 긁게 되고 그러다 물집이 터져 진물이 나오면 다른 부위로 전염이 될 수 있기에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증상 2. 대상 포진의 치료법은?
대상 포진의 치료는 주로 증상 완화와 합병증 예방을 위해 진행됩니다. 피부 병변이 발생한 지 72시간 내에 치료가 시작되어야 효과적입니다. 치료 초기에는 주로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하여 염증 및 통증을 줄이고 진통제와 항염증제를 적절히 처방하여 치료합니다. 이경우 일주일 정도면 대부분 완치가 되는 편이지만 치료 시기를 놓쳤다거나 혹은 고령의 나이인 경우에는 치료 기간도 오래 걸리고 통증의 강도도 높은 편입니다. 이 경우 만성적 신경통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며 몸에 피로가 조금이라도 축적되면 다시 재발하는 경우도 높기에 매우 까다로운 질병입니다. 그렇기에 대상 포진은 백신을 접종하여 미리 예방하는 것이 가장 추천되는 방법입니다.
3. 예방 방법 백신 : 싱그릭스의 효과, 가격 및 후기
통증 세기가 높기에 무서운 질병 중 하나로 취급되는 대상 포진은 지금까지 수많은 백신이 시중에 나와 있습니다. 백신은 발병 위험을 현저하게 떨어뜨릴 뿐 아니라 설령 발병이 되더라도 통증 세기를 줄여주고 합병증 등으로 만성화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그러나 기존 백신들은 생백신으로 바이러스를 약독화시켜 주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접종 대상에 제한이 많은 편입니다. 특히, 발병률이 높아지는 시기인 50대 이상은 61%, 70대 이상인 경우에는 41%의 예방 효과를 보지 못하기 때문에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많았습니다.
싱그릭스를 맞아야 하는 이유 이번에 새로 나온 싱그릭스는 유전자 재조합 방식으로 접종되기 때문에 예방 접종 후의 통증도 줄여줄 뿐만 아니라 50대 이상에게 97%, 70대 이상에도 90% 이상의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입니다. 게다가 몇 년이 지나면 백신의 효과가 거의 사라지는 기존 백신과는 달리 시간이 지나도 그 효과가 오래 유지된다는 점(8년 동안 84% 이상의 예방 효과를 기대)에서도 추천됩니다. 기존 백신에서는 임산부와 면역 저하자 등 접종 대상에 제한이 많았다면 싱그릭스는 면역 저하자 등도 접종이 가능하며 독감, 폐렴구균 등의 다른 백신과 함께 접종도 가능합니다. (단, 임신부나 대상 포진을 앓은 경력이 있다면 1년 후에 예방 접종을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 효과와 더불어 포진 후 신경통의 예방 효과도 90% 이상으로 뛰어난 편입니다.
장점만큼 단점도 확실합니다. 우선 15만 원 전후인 기존 백신에 비해 55만 원으로 가격이 높고 2회 접종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안정성과 탁월한 효과만큼은 인정할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기존 백신과 싱그릭스의 비교 - 대상 포진 싱그릭스 우선 접종 대상자
- 50대 이상
- 18세 이상의 성인 중 면역 저하자 (만선 신부전, 당뇨, 류머티즘 관절염, 만성 폐 질환자)
- 면역 억제제 복용으로 인한 대상 포진 위험성이 현저히 높은 사람 (자가조혈모세포이식자, 고형암, 혈액암, 고형장기 이식 환자 등)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내염 원인 및 증상, 전염, 빨리 낫는 법 (0) 2023.07.24 신림역 칼부림 사건으로 보는 범인의 특징 및 조헌병 (0) 2023.07.23 얼굴 근육 떨림 증상 및 예방 방법 (뇌졸중) (0) 2023.07.22 수전증 원인, 증상 및 치료 방법 (0) 2023.07.22 배 고플때 손떨림 원인 및 증상 (0) 2023.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