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수면무호흡 : 숨겨진 건강 위험
    건강 정보 2024. 7. 13. 06:45
    728x90
    반응형

     


     

    1. 수면무호흡의 정의

    2. 수면무호흡의 원인

    3. 수면무호흡의 증상

    4. 수면무호흡의 진단

    5. 수면무호흡의 치료

    6. 수면무호흡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7. 결론


     

    수면무호흡

     

    수면무호흡은 흔히 간과되지만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질환입니다. 이 글에서는 수면무호흡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해 다루며, 수면무호흡이 일상생활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1. 수면무호흡의 정의

    수면무호흡은 수면 중에 호흡이 반복적으로 멈추거나 얕아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폐쇄성 수면무호흡(OSA)과 중앙성 수면무호흡(CSA)으로 나뉘는데, OSA는 상기도의 일시적 폐쇄로 인해 발생하고, CSA는 뇌가 호흡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두 가지 유형 모두 산소 공급 부족을 초래해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은 단어 그대로 잠자는 동안 숨쉬기를 멈추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2. 수면무호흡의 원인

    1) 폐쇄성 수면무호흡(OSA)

    OSA는 주로 기도의 일시적 폐쇄로 인해 발생합니다.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있습니다.

    비만으로 인한 체중 증가로 인해 목 주변의 지방 조직이 늘어나 기도가 좁아지거나 흡연, 알코올, 진정제 등의 약물도 수면무호흡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중앙성 수면무호흡(CSA)

    CSA는 뇌가 호흡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심장 기능이 약해져 있는 심부전 환자의 경우 뇌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여 수면무호흡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진정제나 마약성 진통제를 투약시에도 호흡이 억제되어 일시적으로 무호흡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수면무호흡의 증상

    수면무호흡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코골이 : 흔히 매우 큰 소리를 동반하며, 코골이가 일정하지 않고 무호흡이 일어나는 시간동안  끊기는 특징이 있습니다.

    2) 수면 중 질식 감각 : 호흡이 멈추면 갑자기 깨어나게 되며, 숨이 막히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3) 주간 졸림증 : 충분한 수면을 취해도 낮 동안 피로감을 느끼고 졸음을 참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4) 기억력 및 집중력 저하 : 수면의 질 저하로 인해 인지 기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5) 두통 : 특히 아침에 일어나면 두통을 느낄 수 있습니다.

     

    4. 수면무호흡의 진단

    수면무호흡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주요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면다원검사(PSG)

    가장 정확한 진단 방법으로, 수면 클리닉에서 하룻밤 동안 호흡, 심박수, 산소 포화도, 뇌파 등을 측정합니다. 이 검사는 수면무호흡증과 더불어 몽유병 등의 수면 중 이상행동, 코골이, 기면증 등의 수면질환 진단을 가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표준검사입니다.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통해 수면무호흡증의 심각도를 판단하게 되며, 정밀 검사 후 양압기 착용, 기도확장수술 등의 치료 방법을 정하게 됩니다.

    2) 간이 수면 검사

    집에서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검사로, 기도 폐쇄 여부와 산소 포화도를 측정합니다. 정확도는 떨어지지만, 초기 스크리닝으로 유용할 수 있습니다.

    3) RDI(Respiratory Distress Index)

    수면다원검사에서 RDI라는 측정 기준을 통해 수면 시간당 무호흡, 저호흡, 호흡하려는 각성 반응을 모두 합한 호흡장애지수를 말합니다. RDI가 5 미만일 경우 정상으로 분류하고 5~15 미만은 경증, 15~30은 중등도, 30 이상이면 중증으로 판단합니다. RDI 지수는 치료 전 측정 수치와 치료 후 측정 수치를 비교하여 호전 정도를 파악하여 수면무호흡증 치료 결과를 확인하는 자료로 사용됩니다.

     

     

    5. 수면무호흡의 치료

    1) 생활습관 변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치료법은 생활습관의 개선입니다. 비만인 경우 체중을 줄이면 기도 압박이 줄어들어 증상이 완화될 수 있으며 금연을 하고 수면시 옆으로 자는 자세가 기도 폐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지속성 양압기(CPAP)

    CPAP는 수면 중 기도를 열어주는 장치로,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계를 통해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기도로 보내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3) 구강 내 장치

    치과에서 제작하는 맞춤형 장치로, 하악을 앞으로 당겨 기도가 좁아지는 것을 막습니다. 경증에서 중등도의 수면무호흡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4)  수술

    심각한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편도선 절제술, 구개수 및 목젖 절제술, 상기도 확장술 등이 있으며, 기도 구조를 영구적으로 변경하여 호흡을 개선합니다.

     

    6. 수면무호흡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수면무호흡증으로 상기도가 폐쇄되면 통상 10초 이상 호흡이 멈추게 됩니다. 이러면 체내 산소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인데, 잦은 수면분절, 저산소증, 교감신경계 활성화를 겪게 됩니다. 치료를 받지 않고 오랫동안 반복되면 심혈관질환, 부정맥, 수면 중 급사 등 치명적인 합병증 유발까지 이어지게 되는데요. 자다가 숨을 안 쉬면 체내 산소포화도가 떨어지고, 숨을 쉬기 위해 뇌가 각성해 잠에서 깨어나게 됩니다. 이것이 지속되면 수면의 질이 낮아져 낮에 피곤하고 불면증이나 불면증으로 인해 우울감이 생길 수 있으며, 뇌가 깨어날 때 교감신경계가 항진돼 심장에 안 좋은 영향을 주어서 조기 졸음, 만성 피로, 집중력 저하, 고혈압, 대사증후군, 치매, 심혈관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코골이 환자의 20~70%가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요. 문제는 수면무호흡증 환자에게서 일반인보다 심혈관질환 1.71배, 뇌졸중 1.86배, 사망률 1.77배, 관상동맥질환 1.48배 더 높게 나타나는 모습을 보여 반드시 치료를 받을 것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7. 결론

    수면무호흡은 흔히 간과되지만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입니다. 증상이 의심되면 조기에 진단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활습관 개선, CPAP 사용, 구강 내 장치, 수술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있으며, 각자의 상태에 맞는 최적의 치료를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건강한 수면을 통해 전반적인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주력해야 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