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석증의 원인과 예방 (자주하는 질문!!!)건강 정보 2023. 8. 8. 09:33728x90반응형
※ 목 차
1. 이석증이란?
2. 원인
3. 증상
4. 예방법
5. 치료 방법
6. 자주 하는 질문
이석증 섬네일 1. 이석증이란?
이석증이란 이석 공간에 위치하는 이석이 반고리관 안으로 들어가 균형 감각에 장애를 일으키는 질병을 말합니다. 보통 이석은 균형을 감지하는 전정기관에 난형낭, 구형낭 위에 위치한 이석막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안에의 이석막에서 이석이 계속 생기게 되고 또 떨어져 나간 이석은 ‘다크 셀’이라는 세포가 먹어치워서 없애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이석이 반고리관으로 잘못 빠져나가게 되고 반고리관의 팽대부에 있는 회전감각을 느끼는 섬모에 자극을 주게 되면 극심한 어지럼증이나 회전성 어지럼증 등을 유발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석증은 어지러움의 많은 원인 가운데,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약 백만 명이 걸리는 흔한 질병 중 하나입니다. 이석증은 머리의 자세를 바꾸거나 빠르게 움직일 때 어지러움과 함께 동반되는 증상으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원인
이석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생기지만 스트레스와 고혈압으로 생기기 쉽습니다. 지나친 스트레스와 높은 혈압은 목의 근육을 경직시키게 되고 근육이 경직되어 뻣뻣해지면 혈액 순환의 장애로 머리로 열리 많이 올라오게 됩니다. 이렇게 열로 인해 이석이 불안정해지고 밖으로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두부 외상을 입거나 골다공증이 있으신 분들이 이석증이 재발하는 위험도가 높은 편입니다. 뿐만 아니라 당뇨병이나 갑상선 문제와 관련하여 이석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석증은 머리에 열이 오르면 더욱 심해지기 때문에 만약 이석증이 생겼다면 술, 홍상, 커피, 녹용, 기름지거나 매운 음식 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증상
이석증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지러움을 심하게 느끼며 두근거림이 동반됩니다. 또한 균형감각의 이상으로 몸이 불균형하게 비틀거릴 수 있으며 이는 자세를 바꾸거나 일어날 때 특히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시야가 흔들리고 귀에서 이명이 울리는 어지러움으로 인해 구토 또는 메스꺼움이 생기기도 합니다.
균형 감각 이상 : 어지러움 4. 예방법
이석증은 머리에 열이 오르면 발병하기 쉽기 때문에 냉찜질을 통해 머리의 열을 식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스트레스로 인해 목이 뻣뻣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트레칭을 실시하고 하루 30분 걷기, 명상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줄이고 자율 신경을 안정시키는 것이 개인 단계에서 할 수 있는 최고의 예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5. 치료 방법
이석증이 발병했다면 우선 이석이 오른쪽에서 생겼는지 왼쪽에서 생겼는지를 파악하고 만약 왼쪽에서 생겼다면 이석의 위치가 앞 반고리관인지 뒷 반고리관인지 옆반고리관인지 테스트를 통해 정확하게 파악합니다. 그러나 이석증은 이석이 빠져나가 반고리관으로 들어간 경우이기에 약을 먹어서 좋아지기보다는 어지러움을 완화시켜 주는 도움을 줄 뿐입니다. 대신 이석 정복술이라는 시술을 통해 이석이 반고리관에서 빨리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작업이 꼭 동반되어야 합니다.
6. 자주 하는 질문
이석증은 자가 치료가 가능하다?
이석증의 원인을 파악한다면 가능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언급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그 이유는 잘못된 자가 치료로 인해 이석증이 더 심하게 진행되거나 위험한 상태로 만들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이석증은 간단한 질병이긴 하나 만약 이석증이 의심된다면 전문의에게 진단을 받고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옆으로 누워 자도 이석증이 걸린다?
이석증은 잘못된 생활 습관으로도 걸리기 쉽습니다. 몸을 무리하게 흔든다는지, 떨림이 너무 강항 마사지기를 사용하거나 옆으로 누워 자도 이석증이 걸릴 수 있습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기와 독감의 차이와 백신 부작용 (0) 2023.10.23 딸꾹질 멈추는 법 (자주 하는 질문) (0) 2023.08.09 심근 경색의 원인과 전조 증상 (자주하는 질문) (0) 2023.08.07 목가래 원인과 빨리 없애는 법 (자주하는 질문!!!) (0) 2023.07.30 장염의 증상과 먹어도 되는 음식 (포카리 스웨이트 정말 먹어도 될까?) (0) 2023.07.26